google.com, pub-1113972959162374, DIRECT, f08c47fec0942fa0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패스카드와 기후동행카드 비교

by 파워글12 2024. 5. 17.

 

 

2024년 K-패스vs기후동행카드중에서 나에게 어떤카드가 이익일지 알아봅니다.

1) 대중교통 15회이상 이용하며, 서울에 거주하며 출퇴근, 월 77,500원 이상 교통비를 사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사용, 경기도에 거주하며 출퇴근한다면 K-패스

 

 

즉 서울시를 벗어나지 않는 생활권이며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일경우로 대중교통비가 월 77,500원 이상이라면 고민할 필요없이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하다. 따릉이를 자주이용할 경우에는 3천원을 추가하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합니다. 

CHECK POINT_K-패스vs기후동행카드 예시
[일반 기준, 따릉이 미포함]
•일반 요금: 80,000원
•기후동행카드: 62,000원(무제한 사용 가능)
•K-패스: 64,000원(80,000원의 20% 환급)
★기후동행카드 유리

[청년 기준, 따릉이 미포함]
•일반 요금: 70,000원
•기후동행카드: 55,000원(무제한 사용 가능)
•K-패스: 49,000원(70,000원의 30% 환급)
★K-패스 유리

2)서울시를 벗어나서 타지역의 대중교통도 이용하는 경우는 K-패스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의 불편함이 개선된 K-패스의 최대장점은 이용할수 있는 교통수단이 많아졌다는 것입니다. 전국 전철과 시내버스, 마을버스, 농어촌버스, 신분당선과 광역버스, GTX까지 모두 K-패스의 혜택권안에 있습니다. 

3)경기도와 인천에 거주하며 출퇴근하는 경우는 The경기패스나 인천 I-패스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는 K-패스와는 다르게 두카드는 K-패스의 지원상한 60회 초과분도 환급대상에 포함이 되며 청년 연령을 39세 까지 높였으며 어린이와 청소년까지 그 혜택의 범위도 넓은 장점이 존재합니다. 

구분 연령 지원 상한 비고
K-패스 19~34세 월 15~60회 -
The 경기패스 19~39세 월 15회 이상 어린이·청소년 연 24만원 지원
인천 I-패스 어린이·청소년 연12만원 지원(예정)
65세 이상 30%까지 환급(추후 50% 확대 예정

3)대중교통을 월 15회 미만 사용하는 경우는

후불교통카드기능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그때 그때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데 이는 K-패스는 15회는 사용해야 혜택권내에 들어가고 기후동행카드는 55,000원이라는 지출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