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기운을 높이는 한약
건강한 몸을 유지하면서 그 상태를 더 좋게 해주는 약이라고 하면 한약을 생각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한약은 중국의 약초학으로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중국의 약초학은 예전부터 중국에서 알려진 의학적인 치료의 수단으로 대부분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전통적인 한방요법 즉 한약은 그 효과에 관한 임상자료나 연구의 증명이 명확하거나 투명하지 않으며 그 재료자체도 바이러스 같은 것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그 자체로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약은 우리 몸에 부작용은 거의 없으며 허브를 포함하여 보통의 경우는 몸의 균형을 유지시켜 주고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켜 주는 역할까지 하는 아주 중요한 범주입니다. 그리고 한약은 구성된 물질의 특성상의 이유로 소비를 함에 있어서 오랜 시간의 간격을 두어서는 안 되며 신속하게 정성스럽게 소량으로 복용하며 특정의 질병치료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 한약의 재료로 사용되는 재료는 약 13,000개에 이르며 고대 문헌에 따르면 10만 개 넘는 의약품을 만들어 내는 레시피가 기록으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몸도 원소로 이루어져 있듯이 식물 원소와 여기에서 추출된 원소는 가장 일반적인 원소이며 그렇기에 부작용이 없는 것입니다. 1941년에 중국에서 발표된 고전적인 전통의 한약 핸드북에는 517가지의 약이 기록되어 있으며 그중에서 45종류만이 동물성이었으며 30가지는 미네랄 성분이었습니다. 약재로 사용되는 다양한 식물에 대해서는 잘 자라는 장소와 지역을 알려주는 것은 기본이며 처음 심어서 기르며 수확을 하는 최고의 시기에 대한 정보까지도 자세하게 전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질 좋은 한약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한약의 역사
한약의 역사를 들여다보면 기원전 2800년까지 올라가며 약초학자 중 신과 같은 존재로 여겨지는 디바인 파머이며 그는 수백 개가 넘는 허브를 직접 맛을 보고 약재로 쓰일 식물과 그렇지 않은 독을 가지고 있는 식물을 구별하여 그것을 재배할 농민에게 알려주었다고 합니다. 또 전통적인 최초의 약초학자로 인정받는 쉐논은 마테리아 메디카라는 책을 통하여 무려 365종의 식물과 동물을 포함하여 모든 재료를 한약의 범주 안에 넣어 분류하였으며 이 책은 중국 한의학에 대하여 기술한 가장 오래된 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쉐논의 Materia Medica는 원문은 없어졌지만 현재까지 번역본이 존재합니다. 이는 실제로는 서한말기 기원전 1세기 정도로 추정이 됩니다. 그다음 자료는 서기 196년에서 220년 사이에 장정징이 쓴 논문으로 그는 약을 처방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음양과 오상을 기본으로 하여 약물요법을 병행하는 최초의 의학연구로 볼 수 있는 이 방법은 질병의 증상을 임상적으로 증명해 내는데 기여하였습니다. 중국의 특허의학은 전통적인 의학의 하나로 그것은 결국 표준화된 허브의 공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전부터 한약은 몇 가지의 약초를 섞어서 거기에다 또 다른 성분을 혼합하고 말리는 과정을 거치고 때로는 가루로 만들어내어 여기에 꿀을 섞어서 제조를 하기도 하였고 현대의 한약은 허브를 볶거나 추출의 과정을 거치기도 하고 중요성분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저온 100 ºc로 추출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허 의약품의 허브 추출물 즉 한약은 환자에게 더 친밀하고 편리한 약품입니다.
현대의학과 상생
중국의 전통의약품인 한약을 분류하는 데는 네 가지의 성질 즉 따뜻함과 시원함과 차가움과 중성 즉 평으로 표현하는 그 세 가지의 중간지점으로 구분하여 따뜻함은 감기치료에 쓰이고 차가운 허브 즉 한약은 열병의 치료에 쓰이는 등 자연의 그 성질을 치료에 중요하게 생각 고려하는 것입니다. 또 다섯 가지 맛으로 매운맛과 달콤한 맛과 쓴맛과 신맛과 짠맛을 가지고도 질병을 치료합니다. 예를 보면 짠맛은 단단한 덩어리를 부드럽게 하는 성질이 있으며 단맛은 보충과 조화를 매운맛은 땀을 발생시키며 쓴맛은 열을 나게 하여 장을 깨끗하게 하며 습한 것을 제거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한약은 허브상태에서 그 외모자체 자연의 모습을 보고 이름을 지으며 색상이나 냄새와 맛에 따라서 또 지리적 위치에 따라서 재배되는 종이 달라지며 이는 중국을 넘어서 북미나 북아시아 국가에 이르기까지 재배되는 지역도 광범위합니다. 이러한 한약을 만들어 내기 위해 지원된 북미의 야생식물 1위는 지난 200년 동안 미국 인삼이라는 기록도 있습니다. 또 중국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한 종을 재료로 그동안 관습적으로 사용해 온 예를 들면 호랑이 뼈나 코뿔소의 뿔(지난 40년간 세계 코뿔소를 90%나 감소 시킴)이나 거북이의 플라스톤론과 건조한 해마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우려가 한약으로 생겨나고 있습니다. 300종 이상의 허브가 한약재로 사용되는데 제품의 신뢰성이나 안전성등에 대한 품질관리가 개선된다고 하면 현대의학과의 상생발전이 더 촉진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