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몸에 건강을 위해 식이섬유가 하는 역할
식이섬유라 함은 말 그대로 인간의 소화능력으로는 모두 분해할 수 없는 일부 콩이나 통곡물이나 곡류에 채소와 과일도 포함되며 견과류와 종자까지 포함이 됩니다. 이들 식이섬유는 화학작용이 풍부하여 어떤 물질과 섞여서 분해됨에 성질이 좋으며 점도가 우수하며 발효되는 과정에서 서로 도움을 주는 기능이 있어서 우리 몸 안에서 특히나 위장의 건강에 도움을 주며 식이섬유는 가용성과 불용성으로 일반적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라서 어떤 것을 더 많이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나 벌킹섬유를 섭취하면 수분을 조절하여 배변이 규칙적으로 원활하게 대사 할 수 있도록 기능하며 베타글루칸과 사이륨이 가지고 있는 점성의 섬유질은 변 질량을 두껍게 조절하는 역할을 하여 결과적으로 우리 몸의 건강한 순환을 돕고 발효성 섬유질은 대장 안에 세균이나 미생물에게 영양을 공급함과 동시에 대사작용으로 결과적으로 위장의 건강에 여러 가지로 이로운 역할을 하는 단쇄지방산을 만들어 내게 되는 것입니다. 단쇄지방산이라고 하면 물에 녹을 수 있는 가용성 섬유로 다른 말로는 발효성 섬유 또는 프리바이오틱스 섬유라고 불리며 이는 대장 안에서 발효가 진행되며 또 장안에서의 세균의 작용으로 만들어지는 일종의 생리작용에 따른 부산물이며 귀리나 보리나 버섯이 그 대표적인 식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식이섬유의 정의 및 식품종류
인간의 정상적인 소화 효소로는 분해할 수 없는 성분이 식이섬유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20세기 후반까지는 리그닌이나 일부의 당분의 가지고 있는 식품으로만 알려져 있었지만 21세기로 넘어오면서 식이섬유에 전분을 포함하고 있는 식품과 올리고당도 포함이 되었습니다. 식이섬유는 인간뿐만이 아니라 포유류 전체에서 소화효소의 분해작용으로 분해할 수 없는 식재료의 성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용성 식이섬유에는 B-글루칸에 일부는 수용성이며 셀룰로오스 E460 시리얼과 과일이나 야채가 포함되며 힉소스의 밀과 보리가 있고 펜토스의 호밀과 귀리가 있으며 리그닌에 과일과 야채와 껍질에 쌓여있는 녹말등이 있으며 내성 점분에는 고아밀로스 옥수수와 보리와 고아밀로스 밀과 콩이나 바나나도 포함되며 이미 요리로 조리가 끝난 냉동된 파스타나 감자까지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식이섬유는 식물에 함께 포함되어 있으며 종류에 따라서는 견과류나 콩이나 멸치처럼 어떠한 인공적인 가공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통째로 생으로 먹거나 간단한 조리의 과정으로 완료되어 영양 보조식품이나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섬유함량이 높은 대표적인 곡물제품은 옥수수로써 100g당 79g이나 함유하고 있으며 그다음이 멸치콩이라고도 불리는 콩나물에 120ml(0.5컵)에 8.0g 짙은색 녹색채소에 120ml(0.5컵)에 6.4g 순으로 높은 섬유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Mayo Clinic 의료 담당국은 요즘과 같이 가공식품이나 인공적인 감미료가 넘쳐나는 현실에서 채소와 콩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섭취되고 있으므로 표준아메리카다이어트(SAD)에 이들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을 권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3) 건강에 식이섬유의 효능
통으로 된 곡물로 이루어진 식품 중에서 밀과 옥수수의 겨와 콩을 포함한 완두콩과 같은 종류의 식품과 먹을 수 있는 자연의 나무의 열매와 때로는 씨앗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감자의 껍질과 리그난류와 풋콩도 포함되며 콜리플라워와 애호박이나 셀러리와 놋팔등의 채소와 함께 아보카도와 아직 익지 않은 바나나를 비롯한 과일들인 키위와 포도와 토마토의 껍질들로 식이섬유를 보충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 열거한 식품들을 기능성 보충제나 보조제나 식품의 첨가물등의 섬유질의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은 영양보충의 목적이나 여러 가지의 치료 목적으로 위장의 문제를 치료함과 동시에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수도 있고 대장암의 위험으로부터 예방적 차원의 식생활 습관으로 발전할 수도 있으며 과체중으로부터의 위험도 줄일 수 있는 우리의 몸에 많은 도움을 주는 불용성 섬유질입니다. 또 불용성 섬유질은 인슐린의 감수성을 높여주고 혈당을 관리하고 개선하는데도 효과가 있습니다. 가용성 식이섬유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인 설사나 변비나 복부의 생기는 불쾌감을 없애 주는데 효과적이며 이눌린이나 올리고당을 포함하고 있는 것과 같은 프리바이오틱스로 대표되는 가용성 섬유를 기초로 한 제품으로는 염증이 동반되는 장질환을 호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식품으로 바꾸는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서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관리하는 부수적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식이섬유 보충제로 이제는 껌 타입의 섬유보충제까지 등장하는 새로움을 우리는 마주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분말가루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식물성 껌 섬유보충제는 뒷맛 없이 깔끔하고 쉽게 분해되는 특장과 함께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치료함에 있어서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껌에는 과르껌과 아라비아껌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식이섬유를 보충함으로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긍정적인 효과는 요즘과 같이 탄수화물의 과다 섭취와 영양과다 현상에 일반 탄수화물정도까지의 정제과정이나 칼로리의 양을 늘리지 않고도 식품자체의 부피와 양을 늘려서 결과적으로 빠른 포만감으로 인해 식욕자체를 떨어뜨려 자연스러운 체중감소나 대사 증진을 촉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또한 식이섬유의 거친 입감으로 인해 소화과정에 물을 먹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점성 겔을 만들어 내게 되며 위의 포만감을 유도할 수도 있고 이는 또 장의 통과시간을 줄여주며 효소는 탄수화물을 막아주며 포도당이 흡수되는 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혈당의 수치도 낮출 수 있고 더 나아가 총 콜레스테롤 수치까지 떨어뜨려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여주고 혈당수치를 낮추는 효과에서는 당뇨병 위험도 줄이며 식품의 소화기관의 전체적인 속도를 높여주는 과정에서 규칙적인 배변활동을 도와주고 변의 굵기에도 도움을 주어 변비의 개선에도 효과가 있으므로 우리 몸의 전체적인 건강에 기여함이 탁월한 것이 식이섬유가 가지고 있는 절대적인 효능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