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com, pub-1113972959162374, DIRECT, f08c47fec0942fa0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강한 미래 식량보고 바다의 본질과 혜택

by 파워글12 2024. 2. 2.

 

 

 

1) 건강한 미래 식량은 바다에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다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그것은 큰 소금물 덩어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다 즉 해양은 지구의 기후를 부드럽게 해 주며 물과 탄소와 질소를 섞어서 순환 재 생산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바닷속에는 여러 가지로 많은 생물이 자라고 있는데 여기에는 동물과 식물을 포함하여 원생생물도 있고 조류도 세균도 심지어는 곰팡이도 살고 있습니다. 넓고 광대한 바다는 태양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빛을 받을 수 있는 부분과 빛이 없는 심해에 이르기까지의 그 소중한 공간이 반대로 생각해 보면 다양한 생물이 그 환경에 적응하면서 자신의 생명을 유지하고 그로 인한 에너지원이 모두 우리 인간들의 에너지 원으로 변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바다라는 존재는 지구 안의 보물창고 임에 틀림이 없는 것입니다. 지구상에서 모든 해양수역은 유기체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 속에서 존재하며 남부의 대서양과 태평양과 인도양까지 또 북극해에 이르기까지가 하나의 흐름으로 숨 쉬고 있습니다. 바닷물 속의 산소의 양은 대부분 바닷물속에서 살고 있는 식물에 의해서 좌우됩니다. 주로 식물 플랑크톤을 가지고 있는 조류와 해초와 같이 여러 가지의 관속 식물이며 낮동안에는 이 식물들이 햇빛을 받아 광합성 작용을 하므로 여기에서 산소가 생기고 이것을 해양 동물이 먹게 되며 밤에는 햇빛이 없으니 광합성을 할 수 없고 자연히 산소량도 감소하게 됩니다. 또 한 가지 이야기하고 싶은 사실은 기후변화로 인해 해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물 자체에 대한 산소 용해도가 떨어지며 1 ºC 상승에 10%의 저산소성 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런 사실로 미루어 보더라도 미래 인류의 식량보고를 지키는 차원에서 지구의 온난화를 막고 환경을 보호하는 일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간절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2) 바다의 본질

보통 바다라고 하면 넓은 해수체를 말하는 것이며 특정 바다로 구분이 되는 것은 지중해와 같이 육지에서 가까운 큰 수역으로 해양의 2층 부분으로 변연 해라고 합니다. 바다의 염분은 차이가 매우 크며 바다 표면과 하구부근이 염분이 낮고 바다 깊은 곳이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용존염의 비율에 있어서는 바다 전체가 일정하니 그 균형감에 있어서 놀라운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다의 온도는 바다 표면에 비치는 태양의 열에 양으로 결정됩니다. 열대의 바다는 태양빛을 바로 받기 때문에 바다 표면의 온도는 무려 30 ºC 이상까지 올라가고 극쪽 지방의 바다 표면의 얼음과 마주하는 온도는 -2 ºC까지 떨어집니다. 따뜻한 바다 표면의 온도는 열대에서 멀어지면 차가워지고 물의 밀도는 높아지며 아래로 가라앉게 됩니다. 이 바닷속 깊은 곳의 물은 적도로 돌아오면 다시 수면 위로 솟아오르게 되며 바다 깊은 곳의 온도는 -2 ºC부터 5 ºC를 유지합니다. 바닷물의 성분은 약알카리성을 띠며 지난 3억 년 동안 변함없이 평균 pH는 약 8.2%였지만 최근에는 기후가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서 대기 중에서 이산화탄소의 포함량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약 2만 년 전의 오늘날 기준으로 마지막 빙하기보다 현재 해수면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후변화로 바다 해수면의 온도 상승이 주된 원인이며 지난 100년 동안 해수면의 높이는 연평균 약 1.8mm(0.071인치)씩 높아지고 있는 것입니다. 바다라고 하면 대부분의 지역에서 하루 2회의 고조가 생겨나며 이것은 약 12시간 25분이라는 시간의 차이로 생겨나게 됩니다. 이것은 지구가 스스로 움직여서 달을 관측하는 사람과 비교하여 완전한 종전의 위치로 되돌려 놓는데 필요한 시간인 24시간 50분의 딱 절반의 시간입니다. 달의 무게는 태양보다는 약 2700만 배나 적게 나가지만 거리는 지구와 400배나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조석력은 거리에 따라서 빠르게 줄어들기 때문에 달이 태양보다 두 배나 더 큰 조석의 효과를 가지는 것입니다.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인력은 바다에도 분명히 작용하지만 조수에 영향을 주는 것은 달에 비하면 약한 것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상에서 최고로 깊은 해구는 마리아나 해구이며 약 2599km(1600마일)이나 되며 또 가장 깊은 바다의 깊이는 10.994km에 이르는 경이로운 깊이를 자랑합니다. 

3) 바다가 인류에 주는 혜택

바닷물속에 녹아있는 고체 중에서 제일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염화나트륨이며 바닷물에는 이외에도 마그네슘과 칼슘과 칼륨과 수은의 소금까지 함께 녹아들어 있으며 그것 외에도 원소단위의 미세한 농도로 포함된 물질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기후적인 측면에서는 바다는 기후를 부드럽게 조절하고 물과 탄소와 질소를 잘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자연적인 역할에서의 그 중요한 가치성 또한 놀라운 것입니다.  우리들은 너무나 무관심하게 자연현상으로 치부하여 넘기는 모든 종류의 대기 순환의 법칙은 한 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는 고도 과학기술을 능가하는 자연의 순환에 따라 지금 이 순간도 바다는 물론이거니와 우리가 존재하는 이 지구, 더 나아가 태양계는 운영되고 있는 것입니다. 바닷속에는 여러 가지 생물이 집합체를 이루어 살아가고 있습니다. 여기에 태양빛은 바다의 위쪽 표면의 일부분만을 비추기 때문에 대부분의 바닷속은 영구적으로 어둠 속에서 존재해 오고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해 다양한 깊이에 따른 온도차이로 그 속에서 살고 있는 해양생물도 자연히 다양하게 분포하게 되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이 다양성 속에 우리 인간에게 여러 가지 혜택으로 다가오는 바다는 경제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며 우리의 생존 미래 식량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안적인 가치성도 충분히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